[교육]학교 안에서 사회적 지위는 어떻게 학습되는가?

댓글  


연구 · 교육
학교 안에서
사회적 지위는
어떻게 학습되는가?

2025-1


CHANA R. SCHOENBERGER



Summary. 학생들은 사회 계층에 따라 자신의 장점을 다르게 인식하도록 교육받는다.



학교는 아이들이 사회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자신이 어디에 속해 있는지를 배우는 가장 중요한 장소이다.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의 미국 불평등 이니셔티브Inequality in America Initiative 박사후연구원인 피터 프랜시스 하비Peter Francis Harvey는 그의 새로운 논문에서 중상류층 가정의 학생들이 다니는 사립학교 ‘트루먼Truman’과 노동계층 가정의 학생들이 다니는 공립학교 ‘브라이튼Brighton’을 비교하며, 두 학교가 학생들에게 사회적 지위와 미래에 대해 가르치는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보여준다.


하비는 3년간 두 학교 학생들을 관찰하고, 학생과 학부모, 교사 101명을 인터뷰하는 에스노그라피 방식ethnographic approach(감수자주: 특정 집단이나 문화의 일상과 행동을 깊이 관찰하고 기술하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는 학교가 학생들에게 사회적 지위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전달하는지 보여주는 근거를 찾고자 했다. 가령 학생들이 자신의 사회적 위치와 방향에 대해 학교로부터 배우는 내용과 같이 말이다.


하비는 두 학교 모두 학생들이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자신의 사회적 위치를 평가하도록 가르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했다. 하지만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중상류층 학교의 아이들은 항상 자신을 특별한 존재로 여기도록 교육받은 반면, 노동계층 학교의 아이들은 규칙을 지킬 때에만 자신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하비가 관찰한 중상류층 사립학교의 학생들은 자신의 개성을 교실 안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냈다. “교사가 한 학생의 질문에 답을 하면, 이를 듣지 않고 있던 다른 학생들이 같은 질문을 던지는 일이 자주 있었어요. 자신이 특별하다는 믿음 때문에 다른 학생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파악하거나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는 것 같았습니다”라고 하비는 분석한다.


반면 브라이튼 학생들은 자신을 집단의 일원으로 인식하도록 교육받았다. 규칙을 따르지 않는 학생은 교사에 의해 ‘나쁜 학생’으로 간주되었다.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을 고르는 활동에서 한 여학생이 참여를 거부하자 교사는 어느 하나라도 선택할 것을 강요했다. “규칙을 어기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교사의 이런 태도는 브라이튼이 집단적 가치를 얼마나 강조하는지 보여줍니다”라고 그는 말한다. 정해진 규칙에서 벗어나 자신을 차별화하려는 학생들의 시도는 교사에 의해 ‘부적절한 행동’으로 낙인찍혔고, 집단적인 합의를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교내 장기자랑 또한 학생들이 사회적 지위를 어떻게 배우는지 관찰할 수 있는 기회였다. 몇 시간 동안 진행된 중상류층 사립학교 트루먼의 장기자랑에서는 수십 명의 학생들이 무대 위에 올랐다. 그중에는 장기자랑이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학생들은 준비가 부족해도 관객 앞에 설 자격이 있다는 점을 배우고 있었어요"라고 하비는 말한다. 반면 브라이튼 학생들의 기대는 매우 달랐다. “그들은 걱정하고 불안해하며 준비에 신경을 썼습니다. 관객이 자연스럽게 채워지리라는 기대도 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미국 사회에서 사람들을 판단하고 구분 짓는 방식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교육 기관과 고용주들은 평가 과정에서 정체성을 점점 더 강조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회 변화로 인해 아동들이 사회화되는 방식 역시 달라질 수 있습니다”라고 하비는 설명한다.


학교는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가치를 전달할까? 학생들이 갖게 될 사회적 위치에 대해 학교는 앞으로 어떻게 교육할까? 하비는 트루먼에서 하나의 흐름을 발견했는데, 그것은 정체성과 인종에 대한 수업이나 미국 엘리트의 정체성이 반영된 어휘를 활용해, 학생들에게 자신이 왜 특별한 존재인지를 인식시키는 것이었다. “정체성과 불평등에 대한 언어에 능숙해진 아이들은 그 언어로 자신을 규정하게 됩니다"라고 그는 말한다.


브라운대학교Brown University의 사회학과 조교수 미켈라 무스토Michela Musto는 하비가 초등학생들과 함께 에스노그라피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이 특별하다고 말한다. 어린 학생들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학생들과 연관된 성인을 인터뷰하거나 학업 기록을 분석하는 방식을 택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아이들이 어떻게 불평등을 일으키고, 재생산하는지 그리고 그것에 어떻게 도전하는지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합니다. 하비의 논문은 이러한 공백을 중요한 방식으로 메우고 있습니다. 그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인 상호작용이 젊은 세대가 스스로를 인식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득력 있게 보여줍니다.” 




참고

1 .     Peter Francis Harvey, “‘Everyone Thinks They’re Special’: How Schools Teach Children Their Social St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88, no. 3, 2023.




> 원문 기사 보기


CHANA R. SCHOENBERGER

차나 R. 쇤베르거는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저널리스트로 비즈니스, 금융, 학술 연구에 대한 글을 쓰고 있다. X 계정(@cschoenberger)에서 그녀의 글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