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과 평가]새로운 회계 시스템을 도입할 때가 왔다

댓글   


소셜임팩트 · 측정과 평가
새로운 회계 시스템을 도입할 때가 왔다

2020-2


 SARA OLSEN · CLARA MILLER · COAUTHORS



Summary. 전통적인 재무회계는 경제활동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담아내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 환경적 차원의 비재무적 임팩트를 포함하는 새로운 회계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표준 회계 원칙이 만들어진 이래, 기업들과 투자자들은 가치를 측정하고 이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방법들을 적용해 왔다. 결과적으로 이런 지식은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활동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한다.


하지만 전통적 재무회계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들은 경제활동의 결과로 인해 발생하는 전체적인 비재무적 영향 혹은 광범위한 재무위험을 기업 및 투자자 들에게 알려 주지 못한다. 반면 이러한 비재무적 영향과 광범위한 재무위험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경제가 좋지 않은 것은 우연이 아니다. 몇 가지 예를 살펴보자. 전 세계 최고 부자 8명이 소유한 재산은 전 세계 극빈층 36억 명의 총재산과 같다. 44%의 미국인은 비상시 필요한 400달러 정도의 저축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 유엔은 앞으로 전 세계가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횟수는 60번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고 추정한다. 전통적인 농업 방식이 토양의 영양분을 고갈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화는 농업, 홍수, 이주, 공급망 파괴 등 다양한 스펙트럼에 걸쳐 위협을 가하고 있다.


환경적 가치 및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전통적 회계 방법으로 경제활동을 가이드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투자 부문에서만 벌써 12조 달러(한화 약 1.4경 원)가 넘는 돈이 환경과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운용되고 있다. 2016년에서 2018년 사이에 38%나 커진 이 시장의 성장은 점점 더 많은 투자자와 주주들이 기업 활동 및 투자가 사회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게 됐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렇기에 만약 재무성과 위주의 전통적인 회계가 세계 경제를 운영하는 중심축이라면, 이제는 사회 및 환경에 관련된 비재무적 임팩트가 또 다른 축으로써 포함돼야 한다.


기업, 투자자, 소비자들에게는 위험과 수익은 물론 가치까지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는 확장된 의미의 지표와 데이터수집 및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나아가 이에 기반한 전략 수립과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 또한 필요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경제활동의 모든  재무적‧비재무적 임팩트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전통적인 재무 중심의 회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다행인 것은 지난 몇 년간 민간 부문에서는 환경적 및 사회적 임팩트를 측정하고 관리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뤄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이 중복되고 다소 일관성 없이 이뤄지면서, 전반적 임팩트 관리에 관심이 있던 기업들에서조차 혼란이 빚어지고 때로는 마비가 오기도 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7년에 2천여 명이 넘는 개인, 기업, 자선단체, 투자기관, 표준화 기구 등 수 많은 경제주체들이 모였다. 이들은 임팩트 투자의 측면, 자본시장 내 환경, 사회, 거버넌스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이하 ESG 보고의 측면, 그리고 기업 경영에서의 ‘임팩트’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한 공동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 즉 ‘임팩트 관리 프로젝트Impact Management Project, IMP’는 다양한 실무자들로 구성된 집단이자 표준화 기구들의 네트워크이다. 이는 임팩트 측정 및 관리impact measurement and management 또는 간략하게 임팩트 관리impact management로 일컬어지는 새로운 경영학 분야를 탄생시켰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가치 평가 방식에 변화가 예상된다.



새로운 펀더멘털

IMP의 노력은 새로운 회계 지표들을 만들고 개척해 온 다양한 기관들의 노력을 기반으로 한다. 지속가능회계기준 위원회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SASB의 기준, 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Global Reporting Initiative, GRI의 기준, 그리고 B 랩의 B 임팩트 평가는 크고 작은 기업들의 ESG 정책과 실무를 측정하는 컨센서스 기반의 기준들을 제공하고 있다. 유엔 책임투자원칙PRI: Principle for Responsible Investment과 세계은행 국제금융공사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 같은 기관들은 투자자가 자신의 투자활동이 가져온 환경 및 사회적 결과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실행 원칙을 정의해왔다. 또한 자연자본 연합Natural Capital Coalition, NCC사회적자본 및 인적자본 연합Social & Human Capital Coalition, SHCC, 그리고 소셜 밸류 인터내셔널Social Value International, SVI 등은 환경 및 사회적 결과outcome와 영향impact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프로토콜과 현장에서 검증된 컨센서스 중심의 원칙과 방법을 개발해왔다. 


그 결과 광범위한 생태계 속 주체들의 노력이 세간에 알려지게 됐다. 첫째, 임팩트 투자 확대를 위해 노력하는 글로벌임팩트 투자운영위원회 GSG 글로벌임팩트투자 네트워크 GIIN임팩트 투자기관 IIX, 그리고 토닉 등과 같은 단체들이 있다. 둘째, 사회적 및 환경 적 결과를 상황적 맥락에 연결하려는 노력들이 있다. 가령 SDGs 달성을 위한 지역적 선순위(유엔개발계획 UNDP), SDGs를 다루는 기업의 노력을 촉진하는 시스템(세계 벤치마킹 연합), 수혜자의 입장(피드백 랩스), 특정 분야 내의 기업 및 수혜자의 입장(사회 성과 프로젝트팀 SPTF), 여러 주어진 조건 및 상황(미국평가학회 AEA) 및 AEA와 연관된 국제 조직 및 다수의 연구기관들 등의 측면에서 이러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민간 부문의 회계 및 감사 법인, 데이터관리 플랫폼, 데이터수집 도구, 그리고 수많은 여타 제공 업체들 등 시장에 임팩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관들이다.


이러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는 사람들과 기관의 수만 보아도, 임팩트 측정‧관리‧보고의 과정에서 공통된 기준을 확립하고 이에 대한 국제적인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IMP의 노력이 놀라운 성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IMP는 임팩트가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IMP는 임팩트를 사람이나 지구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결과를 가져오는 변화라고 규정하며, 이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측면에서 조명했다. ‘누가 영향을 받았는지’, ‘그들에게 어떤 변화가 발생했는지’, ‘해당 기간 동안 얼마만큼의 변화가 발생했는지’, ‘우리의 활동이 변화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지’, 그리고 ‘우리의 예상과 다른 양상으로 임팩트가 나타날 위험성은 어떠한지’ 등에 대한 고려다. 임팩트 관리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투자나 기업의 경영활동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 ‘어떤 임팩트를 어떠한 방식으로 측정할 것인지’ 결정하는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것이 바로 ‘구성원의 목소리constituent voice’라는 개념이다. 이 같은 주장은 일면 당연해 보일 수 있으나, 구성원(핵심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들어가는 시간, 노력, 전문성을 감안하면 확실한 헌신이 필요하다.


IMP의 컨센서스 구축 노력을 진전시키는 과정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회계시스템에는 아래의 세 가지 기본 요소가 있음을 우리는 발견했다.


1. ESG 환경, 사회, 거버넌스 회계 | ESG는 일반적으로 직접적 운영(예: 직원의 건강과 안전, 젠더 다양성), 자사 상품(예: 소비자 보호), 그리고 유통과 공급망(예: 인권 보호) 등을 통해 우수한 ESG 경영을 하기 위한 기업의 노력을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ESG는 대개 사전에 정해진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의 지표 목록을 통해 평가된다. 현재 ESG 평가를 위한 지표 리스트들이 존재하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들의 순위가 정해진다. 소규모 스타트업에서 거대 다국적기업에 이르는 다양한 범위의 사업체들은 이러한 프랙티스들을 ESG 리포팅을 통해 공개적으로 보고하고 있다.


2. 임팩트에 대한 회계 | 기업들은 ESG 성과를 측정하고 공개하는 것에서 나아가, 특히 시급한 환경적 문제 또는 사회적 문제와 관련하여 자신들이 창출하는 구체적인 긍정적 혹은 부정적 임팩트를 측정하고 보고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임팩트 회계의 범위는 사업의 성격, 규모, 복잡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컨대 소규모 기업과 대규모 다국적기업은 특정 프로젝트,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임팩트를 분석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다.


모든 기업의 상황적 맥락에 맞는 특정한 임팩트를 다루기 위해서 사전에 결정된 지표들이 수록된 마스터 리스트를 제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IMP 참여자들과 지지자들은 완전하고 비교 가능한 그림을 만들기 위해 중요한 임팩트 성과의 차원들의 이해에 대한 컨센서스를 도출했으며, 이를 위해 수집하고 정리하여 이해관계자에게 공개해야 할 데이터의 유형들, 어떤 특정한 상황하에서 무엇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에 대해 실무자들의 판단을 도울 수 있는 일반적 원칙들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3. ESG‧임팩트‧재무성과 간 관계에 대한 회계 | 한편에서는 ESG와 임팩트 간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프레임워크가 존재하며, 또 다른 편에서는 여기에 재무적 성과까지 포함하여 변수 간 관계를 규명하려는 프레임워크가 사용되고 있다. 투자자가 좀 더 단기적인 재무성과에 중요한 ESG 요소들에 집중(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SASB의 방식)하든, 아니면 보다 광범위하고 전략적으로 이들 간의 상호 작용을 측정 및 관리(통합 리포팅Integrated Reporting의 방식)하고자 하든 간에, 명백한 사실은 환경‧사회적 요소들과 재무성과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점이다. 정보공개 프레임워크disclosure framework는 이러한 관계를 분명하고 투명하게 보여 준다.



새로운 시스템 띄우기

전 세계의 기업과 투자자가 이 같은 컨센서스를 받아들여 정기적으로 자사의 임팩트와 ESG 성과를 보고하는 세상을 한번 상상해 보자.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투자자는 좀 더 크고 장기적인 관점을 채택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운영하며,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한 인적자원개발 목표 달성과 자신들의 역량을 연계한 기업을 선호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기업이 초래한 환경 및 사회적비용과 창출한 사회적 편익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고를 수 있다. 그리고 경영자와 이사회는 주주와 기타 이해관계자 모두에 대한 기업의 순기여도net contribution를 바탕으로 기업을 경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세상은 실현될 수 있다. 올해 ESG 성과 및 임팩트의 공개 및 관리와 연관된 다수의 주요 글로벌 리더들은 임팩트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신흥시장의 노력을 함께 지원하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그들은 데이터 수집 및 관리에 대한 기존 표준을 IMP 컨센서스에 맞게 조정하려고 협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파트너들은 공익 차원에서 일종의 공공재로 자신들의 표준들과 지침들을 구성원들에게 제공한다.


임팩트 측정 및 관리가 보편화되면서, 이를 위한 표준, 원칙 및 프레임워크 등은 재무회계에 있어서 기존의 ‘선택적 추가 사항’에서 필수적 요소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새롭게 진화하는 이런 도구들은 경제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과 수익을 폭넓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범위의 경제주체들은 세계의 실존적 문제를 직면하고 인류의 가장 숭고한 염원을 실현하는 일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원문 기사 보기


SARA OLSEN · CLARA MILLER · COAUTHORS

저자들은 전미평가협회(AEA), 공인 대체투자 분석사(CAIA), 소셜 밸류 인터내셔널(SVI), 그 리고 임팩트 관리 프로젝트(IMP)를 통해 임팩트 측정 및 관리 체계를 진전시키기 위해 개별 적으로, 그리고집단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저자에는 새라 올슨(SARA OLSEN), 클라라 밀 러(CLARA MILLER), 벤 카펜터(BEN CARPENTER), 데이빗프리차드(DAVID PRITCHARD), 브라이언 비치코프스키(BRIAN BEACHKOFSKI), 윌리엄 켈리(WILLIAM KELLY), 카림 하지(KARIM HARJI), 제인 레이스만 (JANE REISMAN), 존 번즈(JOHN BYRNES), 제드 에머슨(JEDEMERSON), 에릭 이스라엘(ERIC ISRAEL), 유웨이 시(YUWEI SHI), 베로니카 올라자발(VE-RONICAOLAZABAL),톰월펠(TOMWOELFEL),마이클하르나(MICHAELHARNAR),그리고 슈바 쿠마르(SHUBHA KUMAR)가 있다.